지속되고 있는 금융권 저금리 상품으로 인해 보다 높은 수익률을 찾고자 고배당 주식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배당은 주식의 양분이라고 불릴 만큼 없어서는 안 될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나 탄탄한 순이익을 유지하며 동시에 높은 배당금을 주는 회사라면 자산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킴으로 건전한 투자 생활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그럼 배당 순위 확인과 배당수익률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상장 주식 배당 순위 확인
네이버 검색
네이버 검색 창에서 "주식 배당" 이라고 검색할 경우 배당금이 높은 순서대로 상장 회사를 볼 수 있다. 정렬 기준에 따라 '배당수익률 상위종목', '수익률 상위종목'을 선택 가능하다.
네이버 금융
네이버 금융(https://finance.naver.com/)에서 "국내증시 > 배당"을 클릭하면 배당을 진행하는 회사 리스트를 나타낸다. 옵션을 통해 우선순위를 변경 가능하니 참고 바란다.
SEIBRO 증권정보 포털
SEIBRO 증권정보포탈에서 배당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시장에 따라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등 다양한 상장 회사를 볼 수 있다.
배당수익률 계산 방법
배당수익률 = 배당수익률 * 100 / 1주당 거래가(시가) |
예시) 2021년 기준으로 2020년 주당 배당금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코프"의 2020년 주당배당금은 800원이며 현재(2021년 7월 16일) 기준으로 1주당 9,640에 거래된다. 이를 이용하여 배당수익률 계산 시 약 8.30% ( 800*100/9640 ) 임을 알 수 있다.
배당주 주의점
주당배당금
배당수익률을 계산할 때, 직전 주당 배당금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2021년 배당수익률을 예측하기 위해 2020년 주당배당금을 사용한다. 이는 작년과 올해 주당 배당금이 유사하거나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수익률을 추측함을 의미한다. 반대로말해 해당 회사의 재정 문제 또는 기타 이슈가 있을 경우 주당배당금이 다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시가배당률
배당수익률 계산 시 1주당 거래(시가)를 기준하는데 시시각각 거래 가격이 변하기 때문에 시가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올해 초에 7% 배당률이 예상되는 주식이 6개월 후 주가 변동으로 1% 배당률을 가질 수 있다.
최근댓글